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

공동현상(기수 분리, 수주 분리)의 발생원인, 영향

by allonemylife 2024. 11. 4.
반응형
1) 개요

국소 압력의 강하로 인하여 액체에서 공기가 분리하는 현상

 

2) 발생원인

가). 흐르는 유체의 정압 강하 : 흐르는 유체에서 의의 지점의 정압이 해당 유체의 포화증기압 보다 낮아지게 되어 발생

나). 유체의 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의 강하 : 유체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관의 수축부를 통과할 때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목 부분의 압력이 가장 낮게 되어 발생

< 베르누이 방정식 >

 

3) 영향

가). 소음/진동 발생 : 발생 기포가 고압영역으로 유입되면서 기포의 급격한 붕괴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

나). 양정 및 동력효율의 저하 : 양정 및 효율의 강하(저하) 정도는 비속도 및 임펠러 단수에 반비례한다.

다) 깃의 침식 : 기포가 깃 표면 부근에서 붕괴되면 기포 체적의 급격한 감소로 기포 주위의 유체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깃 표면에 점 침식(Pitting)을 유발하여 펌프 수명 저하의 원인이 된다.(기포 소명 시 발생하는 Hammering 효과에 의한 부식 발생)

 

4) 방지책(캐비테이션 부식 방지대책)

  • 펌프의 설치위치를 낮추어 유효 흡입수두를 크게 한다.
  • 펌프 회전수를 낮추고, 흡입 비속도를 적게 한다.
  • 양흡입 펌프를 사용하거나 1대 펌프를 2개로 분할한다.
  • 흡입 관경을 크게 하고, 밸브, 플랜지 등 관이음류의 수를 줄여 손실수두를 줄인다.
  • 임펠러 재질을 점 침식에 강한 재질(18-8 스테인리스 강 등)으로 변경한다.

Cavitation 발생 한계

(1) 발생한계 조건

 

(2) 토마의 캐비테이션 계수 σ

 

∴ σ : 토마 캐비테이션 계수(펌프의 크기, 회전수에 관계없고, 펌프의 구조, 즉 Ns(비속도)에 의해 정해지는 무차원 상수)

< 캐비테이션 발생한계 조건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