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by allonemylife 2024. 11. 29.
반응형
1. 불활성 가스 아크 용접

1) 개요

전극은 텅스텐 봉이며, 용접봉과 다른 원소가 화합하기 어려운 불활성 가스(He, Ar)를 실드 가스로 사용하여, 대기로부터 Arc나 용융지를 보호한다.

  • 불활성 가스 분위기 속에서 Arc를 발생, 용접하므로 용접부의 산화방지, Arc의 집중 및 안정화로 균일한 용접이 되며,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 스테인리스 강, 알루미늄, 구리 및 합금강 등의 용접에 적용한다.

 

2) 종류

① TIG 용접(Tungsten-arc, Inert-Gas) GTAW : Gas Tungsten Arc Welding

가). 개요 : 전극은 텅스텐이며, Arc만 발생하는 비소모성이다.

  • 피복하지 않은 와이어 상태의 용접봉을 별도로 사용한다.(비소모 전극방식, 전극 ≠ 용가재)

나). 장점

  • Arc가 안정되고, 용접품질이 우수하다.
  • 슬래그가 발생하지 않고, 스패터 발생이 거의 없다.
  •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며, 주로 전진법을 사용한다.
  • 모든 금속의 용접에 적용가능하다.
  • 박판 튜브, 파이프의 Root 패스에 사용한다.

다). 단점

  • GMAW에 비해 생산성이 낮다.
  • 용접사의 기량이 요구된다.

라). 용접기 구성

TIG Arc 용접기, 가스통, 전극테이블, 가스케이블, 접지(용접)케이블, 냉각수 공급장치, 토치 및 페달 등으로 구성

  • 토치의 종류 : 공랭식(200Amp 이하), 수냉식(200Amp 이상)

 

마). 전원 및 극성

  • 텅스텐은 융점이 높고, 일함수가 낮아 열전자 방출이 우수하다.

 

 

② MIG용접(Metal-arc, Inert-Gas) GMAW : Gas Metal Arc Welding

가). 개요 : 코일 상태의 와이어(Filler wire)가 전극과 용접봉을 겸하고 있어 용접봉이 필요 없으며, 실드가스에 의해 용착금속을 외부로 부터 보호한다. (소모 전극방식, 전극 = 용가재)

  • 전극 소모식 용접법으로 전극에서 자기장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고, 외부에서 송급장치에 의해 송급된다.
  • 자기장에 의해 방출된 전자는 에너지가 낮으며, 이온의 중량이 커 에너지 전달량이 높다.
  • 저전류를 사용하여 용융지가 작고 빠르게 냉각되어 뒤틀림 발생이 적다.
  • 스패터가 아주 적고, 박판 용접에 효과적이다.
  • 적용 : AL, Mg, Cu합금 및 스테인리스 강 용접봉

나). 장점

  • 용제가 없어 용접부의 슬래그 제거가 불필요하고, 슬래그 혼입에 따른 용접 결함이 없어 경제적이다.
  • 전류 밀도가 높고, SMAW에 비해 고 능률적이르로 용접속도가 빠르고, 양호한 용접이 가능하다.
  • 자동화가 가능하며, 비교적 기능도가 덜 요구된다.
  • 전자세 용접이 가능하다.
  • 좁고 깊은 용접이 가능하며, 열영향부가 매우 적다.

다). 단점

  • 슬래그가 없으므로 냉각 속도가 빨라 열 영향부에 용접의 금속조직과 기계적 성질이 변화하는 경향이 있다.

 

 

2. CO2 아크 용접(탄산가스 Arc 용접, FCAW)

1) 개요

  • 고가의 불활성 가스 대신에 비교적 저렴한 탄산가스를 사용한 전극 소모식 용접법이다.
  • 와이어 용접봉은 용제(Flux)를 내부에 채운 중공관 심성을 사용한다.
  • 산화성가스가 발생하므로, 용접 와이어에 탄산제(Mn, Si)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 주로 연강 용접에 사용하며, 구조물의 대량 용접에 사용된다.

2) 장점

  • 용접부 수소 함유량이 적어 용착금속의 기계적 성질이 우수하다.
  • 모든 용접자세가 가능하고, 용접 비용이 저렴하다.
  • 용입이 깊고, 고속의 용접이 가능하고, 용접 후 처리가 간단하여 경제성이 우수하다.

 

3) 단점

  • 비드의 기복이 심하다.
  • 가스 실드가 불안정하며 질소가스에 의한 기공이 발생한다.
  • FCAW는 용제를 사용하므로 연기 및 슬래그가 발생하므로 통풍이 필요하다.
  • 와이어의 건조가 불충분하거나 탄산가스의 수분이 많으면 냉간 균열이 발생한다.
  • 복층 작업시 슬래그 제거가 불충분하면 슬래그 혼입 및 기타 용접결함이 발생한다.

 

4) 용접장치

① 용접 전원 : 직류전원, 직류 전동발전기, 교류전원
② 제어 장치 : 와이어 및 가스 송급 제어, 냉각수 송급제어
③ 토치 : 전자동 및 반자동식(공냉식 및 수냉식)
④ 기타 : 탄산가스 유량조정기, 가스압력계 및 냉각수 순환장치

 

 

3. CO2 용접과 MIG 용접의 비교

1) CO2 용접의 특성

  • 토치 선단부를 통해 탄산가스를 공급하여 대기로부터 용융 금속을 보호한다.
  • 와이어 용접봉은 용제(Flux)를 내부에 채운 중공관 심성을 사용한다.
  • 고가의 불활성 가스 대신에 비교적 저렴한 탄산가스를 사용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 전극 소모식 용접법으로, 주로 연강 용접에 사용하며, 스패터가 많고, 중후판 용접에 적합하다.

 

2) MIG용접(Metal-arc, Inert-Gas) GMAW : Gas Metal Arc Welding

  • 코일 상태의 와이어(Filler wire)가 전극과 용접봉을 겸하고 있는 전극 소모식 용접법으로 용접봉이 불필요하고, 실드가스에 의해 용착 금속을 외부로부터 보호한다.
  • Argon Gas를 사용하며, 경제성이 떨어지고, 용착 금속에 기공이 잔류할 가능성이 높다.
  • 전극에서 자기장에 의해 전자가 방출되고, 저전류를 사용하므로 용융지가 작고 빠르게 냉각되어 뒤플림이 적다.
  • 스패터가 아주 적고, 박판 용접에 효과적이다.

 

반응형

'건설기계기술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연기관의 피스톤 링의 작용  (0) 2024.11.29
열응력 및 선팽창 계수  (0) 2024.11.29
크리프(Creep) 현상 및 특성  (0) 2024.11.29
금속의 마모 현상  (0) 2024.11.28
재료의 파괴  (0) 2024.1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