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83

준설선의 종류, 구조 및 특징 1. 개요 1) 준설준설장비를 이용하여 수중의 토사, 진흙, 자갈, 모래, 암석 등을 굴착하여 파이프라인 등으로 운송 또는토운선으로 운반하여 목적지에 도착하여 수중의 모래를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 2) 건설기계관리법상 준설선의 정의펌프식, 버킷, 디퍼식 또는 그래브식으로 비자항식인 것.다만, [선박법]에 따른 선박으로 등록된 것은 제외한다. 3) 준설공사의 분류수심을 유지시키기 위한 해저면 굴착매립이나 구조물의 기초를 조성하기 위한 해저면 굴착선박의 항로를 자유롭게 운행할 수 있도록 일정한 수심유지선박지를 조성하기 위한 준설    2. 작업선의 종류1) 디퍼 준설선(1) 구조버킷, 디퍼암, 디퍼붐, 준설기계실, 기관실, 선수 스퍼드, 선미 스퍼드비항식 선박 위에 파워셔블과 같은 굴착기를 부착한 구조선체의 .. 2024. 10. 24.
롤러 종류별 규격 및 타이어 롤러의 밸러스트 1. 롤러의 정의건설기계관리법(시행령 제2조 [별표1] 건설기계의 범위)상 롤러의 정의1) 조정석과 전압장치를 가진 자주식인 것2) 피견인 진동식인 걸 2. 롤러의 규격 표시 방법종류규격표시(성능표시) 방법로드롤러(Road roller)다짐폭[mm]중량[ton] : 안내중량, 구동중량- 밸러스트 및 충수시 드럼의 전중량[ton]- 밸러스트 및 물을 넣지 않은 드럼의 전중량[ton]선압[kg] : 안내륜, 구동륜주행속도[km/h] : 고속, 저속정격출력[ps]타이어롤러(Tire roller)유효 다짐폭[m]전타이어 중량(타이어무게+공기무게)타이어 개수, 규격, 압력[kg/cm2]범위, 지지기구다짐중량[ton] : 자중 및 적재중량주행속도[km/h] 정격출력[ps]진동롤러(Vibration roller)다짐.. 2024. 10. 24.
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순서와 안전대책 1. 개요타원크레인은 초고층 양중 건설기계로서 최첨단 기능을 구비한 것으로 작업의 편리성이 높다.기종에 따라 협소공간작업 및 적층공법에 용이하며 지상권 침해 민원 방생 해소가 가능하다.적용 : 초고층 및 고측 건축공사, CP제작공장, 조선소 및 플랜트 공사 등   2. 종류1) 타워크레인의 설치형식에 따른 구분고정식(Stationary Type) : 지반에 고정 앵커를 콘트리트로 타설하여 고정하는 기본적 형식이다.상승식(Climbing Type) : 건축공사장이 넓어 건물외곽에서 타워크레인 1대로 곤란한 경우나, 주로 철골 구조물 건축공사중 건물 외곽에 타워크레인 설치장소가 없을때 건물 자체 구조물에 설치, 지지하는 Wall Tie 방식이다.주행식(Travelling Type) : 레일 상에서 타워크레인.. 2024. 10. 24.
크레인의 종류 및 특성 1. 개요무한궤도 또는 타이어 형식으로 강재의 지주 및 선회장치를 가진 것으로 궤도식(레일식)은 제외한다.   2.기본동작1) 기본 6동작- 덤프- 붐 호이스팅 및 스윙- Crowd : 흙 파기- Travel : 크레인 추진- 호이스트- Retract : 크레인의 셔블 당기기2) 기본 7동작 : 기본 6동작에서 '붐 호이스팅 및 스윙'을 나눈다.    3. 종류1) 트럭 크레인- 주행 트럭 위에 360도 선회용 크레인을 장착한 구조- 트럭 운전실과 별도의 크레인 운전실이 구분- 4개의 아웃트리거 장착- 넓은 지역에서 하역 작업용 2) 전천후(All Terrain) 크레인- 트럭 크레인 및 RT(험지) 크레인의 장점을 조합- 주행성이 우수- 다 용량물의 인양이 가능- 구동 및 조향 : 전륜 구동 및 전륜 .. 2024. 10. 23.
크레인 하중 용어의 정의 및 전방 안정도와 후방 안정도 1. 개요크레인은 강재의 지주 및 선회장치를 갖는 건설기계로서 화물의 적재, 적하, 선회에 용이하다.    2. 크레인 하중(1) 안정한계 (Stability Limit)안정한계 상태: 이동식 크레인이 평탄하고 견고한 지면 위에서 화물을 매달아 올려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한계의 상태안정한계 하중: 각 지브 길이와 각 작업반경에서 안정한계 상태가 되는 화물의 질량안정한계 총하중: 각 붐의 길이 및 작업 반경의 안정한계 상태에서 훅, 그랩, 버킷 등의 매다는 화물의 질량을 포함한 하중 (2) 최대 정격 총하중(Hoisiting Load, 권상하중)이동식 크레인이 구조 및 재료에 대해 견딜 수 있는 최대의 하중지브의 길이를 짧게 하고 경사각을 최대로 한 때 (최소 작업 반경때)에 걸리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2024. 10.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