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설기계기술사83

유압장치의 제 현상(유압펌프의 발생 문제점) 1. 캐비테이션유압유의 압력이 국부적으로 높아져 포화 증기압으로 증기를 발생하거나 공기가 분리되어 기포가 발생하는 현상작동유의 점도로 인한 흡입저항 때문에 일정 회전 수 이상에서는 토출량이 회전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지 않고 이론값보다 감소한다.1) 영향국부적으로 높은 소음 발생배관 계통의 마모 및 고장 발생비정상적인 운전 발생유압 계통의 압력 저하2) 방지책Air Cock Valve를 부착하여 흡입 공기를 배출흡입 저항을 줄이기 위해 필터의 용량을 크게관경을 굵고 짧게 하고 곡관을 줄이고, 곡률반경을 크게 함.펌프와 탱크의 유면거리(양정)를 짧게 한다. 2. 서징현상(Surging) : 유격현상유량조절, 변환밸브의 과도한 조작, 또는 실린더의 급정지 등에 의한 유압 회로 중에 과도하게 발생한 이상 압력 변.. 2024. 11. 4.
유압장치와 유압 Actuator(구동부) 1) 개요유압 : 유체역학에 의한 힘과 운동량을 제어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것으로, 오일을 매개체로 하고, 전동기 또는 엔진에 의한 동력원으로 부터 압송된 유압유가 Actuator(구동부)를 움직여 기계장치에 사용된다.전달 매체는 펌프에 의해 압송되는 유압 작동유이다.힘과 운동의 제어는 주로 밸브에 의한다.2) 유압 시스템(1) 유압 시스템의 구성- 유압장치의 3요소(5요소) : 유압 발생부, 유압 구동부, 유압 제어부, (오일 탱크 및 배관, 기타 부속장치)가). 유압 펌프(유압발생부) : 기계적 에너지를 유압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 오일 탱크 내 작동유 흡입 및 유압을 송출- 종류 : 기어 펌프, 베인 펌프, 플런저 펌프 나). Actuator(유압모터, 유압실린더 : 유압구동부) : 유체 에너지를 .. 2024. 11. 4.
공동현상(기수 분리, 수주 분리)의 발생원인, 영향 1) 개요국소 압력의 강하로 인하여 액체에서 공기가 분리하는 현상 2) 발생원인가). 흐르는 유체의 정압 강하 : 흐르는 유체에서 의의 지점의 정압이 해당 유체의 포화증기압 보다 낮아지게 되어 발생나). 유체의 온도에 따른 포화증기압의 강하 : 유체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관의 수축부를 통과할 때 베르누이 방정식에 의해 목 부분의 압력이 가장 낮게 되어 발생 3) 영향가). 소음/진동 발생 : 발생 기포가 고압영역으로 유입되면서 기포의 급격한 붕괴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한다.나). 양정 및 동력효율의 저하 : 양정 및 효율의 강하(저하) 정도는 비속도 및 임펠러 단수에 반비례한다.다) 깃의 침식 : 기포가 깃 표면 부근에서 붕괴되면 기포 체적의 급격한 감소로 기포 주위의 유체압력이 급격히 증가하여, 깃 표면.. 2024. 11. 4.
수충격(Water Hammering)과 맥동현상(Surging) 1. 수충격 현상1) 수격 작용장거리 수송배관으로 액체 이송시 정전 등 펌프의 운전이 갑자기 멈춘 경우 수송관내 액체는 관성력에 의해 흐름방향 운동성을 가지지만 펌프 송출부의 액체는 흐름이 약해져 멈추려한다.이에 따라 펌프의 와류실에는 압력강하가 발생하고 펌프 송출구로부터 와류실에 역류가 발생하여 급격한 압력 강하와 상승이 반복하여 발생한다.즉, 유체의 운동E가 압력E로 변하여 이 압력변화가 압축파의 전파속도로 전달되는 현상이다. 2) 발생 원인펌프의 기동 및 정지펌프 회전수 제어밸브 개폐 시정전 등에 의한 펌프 구동력 차단 3) 발생가). 제 1단계펌프 동력이 상실되고 수저항에 의해 회전수가 저하된다.펌프가 동력을 상실하면 유체는 관성력에 의한 흐름을 가지므로 펌프 측 송출관 부분에 압력파가 발생하고 .. 2024. 10. 31.
원심펌프의 동력계산, 효율 및 손실(제반손실) 1. 원심 펌프의 설계1) 설계조건 결정수송유체의 구분(점도, 고형물, 농도)수송유체의 성질 및 특성검토펌프의 실양정 및 송출유량, 기종 형식의 선정펌프의 회전수펌프 형식 및 토출량 결정펌프의 원동기 종류2) 용량 결정가). 흡입 구경 검토 나). 토출 구경 검토 다). 전양정 계산 3) 펌프 소요동력 결정 4) 회전수 선정 5) 임펠러의 설계가). 임펠러 입·출구임펠러 외경, 입구경임펠러 출구 폭 및 입구 폭임펠러 출구 각 및 입구 각임펠러 매수 및 두께나). 축경(d) 2. 펌프의 기타손실1) 수력 손실(Hydraulic power loss)가). 충돌 손실(임펠러 입·출구) : 유체가 임펠러로 유입될 때 접선 방향 유입과정에서 속도변화에 따른 충돌 손실로 임펠러 출구에서 급격한 속도 변화 발생으로 .. 2024. 10. 31.
와이어로프의 검사, 폐기기준, 주의사항 1. 개요1~3mm의 강선을 만든 다음 스트랜드를 만들고 이 스트랜드를 6개 꼬아서 만든 것로프의 꼬임과 스트랜드의 꼬임이 서로 반대방향인 것이 많으며, 보통 꼬임이라고 하고,                                             방향이 같은 것을 랭꼬임이라고 한다. 2. 와이어로프의 안전관리1) 마모고열의 하중이 장시간 작용드럼에 와이어로프가 흐트러져 감김로프에 이물질 부착부적당한 시브 홈과하중 및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풀때 킹크 발생작업하중 조건 변화사용 시브 정렬 불량2) 직경감소 원인과도한 외부 마모와이어로프의 내·외부 부식로프 피치의 풀림 및 꼬임내부 소선의 단선로프의 늘어남스트랜드의 압착 조임3) 검사 기준마모 정도(직경감소) 검사 : 전장에 걸쳐 많이 마모된 곳, 하중.. 2024. 10. 30.